vuejs 2

openAPI 쓰기 ① (feat. 프록시, MSA, 라이프 사이클)

fluuter 할 때는 Dio를 썻다. javaScript에선 axios 으로 한다. 우리는 프록시라는 걸 써야한다. 프록시란 무엇일까? '전화교환원'이란걸 아는가? 동그랗게 생긴 전화기 돌리면서, 어디로 전화를 연결할지 안내했던 직업이다. 112에 전화를 하고싶으면, 내 지역 112니까, 전화교환원 분들이 '안산 사람이네? 안산 112로 연결해야지'라고 하는 식인거다. 어떤 특정 주소 (api)로 가고싶으면, 프록시가 판단을 합니다. '어느 도메인으로 가야하네?' '이건 도메인이 여기네, 여기 도메인이랑 붙여서 보내줘야지'하는 역할입니다. 서버마다 붙은 도메인은 다를까요 같을까요? 급여 api, 차량관리 api 등등... 그렇다면, 도메인 주소부터가 다를겁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v1/car/ **..

Vue.js 라이프사이클 훅 이란

참고 블로그 : https://velog.io/@yeyo0x0/Vue.js-%EB%9D%BC%EC%9D%B4%ED%94%84%EC%82%AC%EC%9D%B4%ED%81%B4-%ED%9B%85 [Vue.js] 라이프사이클 훅 라이프사이클이란 Vue 인스턴스나 컴포넌트가 생성되고 소멸되기까지의 단계를 말하며 각 단계에서 실행되는 함수들을 라이프사이클 훅이라고 부른다. 라이프사이클의 flowchart는 아래와 같다.Vu velog.io https://blog.ddark.kr/vuejs-lifecycle/ Vue.js의 라이프사이클 이해 들어가며 최근 나는 Vue.js… blog.ddark.kr vue에서는 모든게 컴포넌트다. 그렇다면 페이지도 컴포넌트다. 라이프 사이클을 따라간다. 뮤지컬, 연극으로 생각하라 ..